한잔 먹세그려
한 잔 먹세 그려
- 정 철 -
한 잔 먹세 그려 또 한 잔 먹세 그려.
꽃 꺾어 산놓고 무진무진 먹세 그려 이 몸 죽은 후면 지게 위에 거적 덮어 줄이어매여 가나 유소보장에 만인이 울어 예나 어욱새 속새 떡갈나무 백양 숲에 가기 곧 가면 누른해 흰달 가는비 굵은눈 소소리바람 불 제 뉘 한 잔 먹자 할꼬.
하물며 무덤 위에 잿납이 휘파람 불 제야 뉘우친들 어이리.
[현대어 풀이]
한 잔 먹어 보세, 또 한 잔 먹어 보세.
꽃 꺾어 셈을 하면서 한없이 먹어 보세 그려.이 몸 죽은 후면 지게 위에 거적을 덮어 꽁꽁 졸라 매어져서 가거나 호화로운 상여에 만인이 울면서 따라가거나, 억새풀과 속새와 떡갈나무와 백양나무 숲에 가기만 곧 가면, 누런 해, 흰 달, 가는 비, 함박눈, 음산한 바람이 불 때 누가 한 잔 먹자고 할 것 같은가.
하물며 무덤 위에 잿빛 원숭이가 휘파람을 불 때, 뉘우친들 무엇하리.
[이해 및 감상]
'장진주사'라는 사설시조로 멋진 권주가에 해당되는 시조이다. 사람이 한번 죽고 나면, 거적을 덮어 지게에 짊어지고 가거나, 유소보장 호화로운 상여에 만인이 울면서 따라가거나, 일단 북망산천으로 들어가기만 하면 외롭고 쓸쓸하고 을씨년스럽기는 매한가지가 아니냐. 부귀와 영화도 살았을 적의 일이지 한번 죽어지면 모든 것이 다 일장춘몽이다. 공수래 공수거하는 인생, 그러니까 살아 생전에 후회없이 즐겁게 지내 보자는 것이다.
초반부의 꽃을 꺾어서 술잔 수를 셈하면서 즐기는 낭만적이고 풍류가 넘치는 정경과, 후반부에 그려진 무덤 주변의 삭막하고 음산한 분위기는 대조적이어서 읽는 이로 하여금 인생 무상을 느끼게 한다. 현실에 대한 무기력감과 퇴폐적인 정조로 비판을 받을 수도 있겠으나, 북망산천의 묘사는 영상미의극치를 보여주는 걸작이다.
*산(算) 놓고 : 꽃나무 가지를 꺾어, 하나 둘 셈을 하면서 한 잔 먹고 가지 하나 꺾고, 두 잔 먹고
가지 하나 꺾어면서 …….풍류를 즐길 줄 아는 모습.
*무진무진 : 한없이, 끝없이, 무궁무진.
*줄이어매여 : 꽁꽁 졸라매어져서
*유소보장(流蘇寶張) : 호화롭게 꾸민 상여를 말한다. '유소'는 깃발 따위의 가장자리에 붙이는
오색실이나 노로 만든 술, '보장'은 고급휘장(장막). 여기서는 그것을 두른 상여를 말함.
*울어 예나 : 울면서(곡을 하면서) 따라가거나
*어욱새 : 억새풀
*백양 : 사시나무
*누른해 : 누런 해. 묘지에서 쳐다보는 기분 나쁜 뿌연 해를 가리키는 말인 듯하다.
*흰달 : 밝은 달이 아니라, 을씨년스러운 분위기의 달이다.
*가는비 : 가랑비. 시원스럽게 내리는 비가 아니라 구질구질하게 내리는 음산한 비
*굵은눈 : 함박눈
*소소리바람 : 음산한 바람.
*잿납이 : 잿빛(회색) 납이.납은 원숭이의 옛말
*휘파람 : 원숭이의 구슬픈 울음 소리를 말함.
[정리]
성격 : 사설시조, 권주가(勸酒歌), 장진주사
표현 : 중장의 산문화, 대조적 분위기 연출
주제 : 음주 취락
의의 : 최초의 사설시조로 알려져 있음.